주식도 알겠고 발행시장도 알겠는데 지수는 또 무엇인지...
'하나하나 차근차근 알아가 보도록 해야겠다.' 이런 마음으로 주가지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 주가지수(Stock Index)란?
주가지수는 여러 주식의 가격을 종합해서 만든 지표로 주식 시장의 전반적인 움직임을 숫자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 지표를 보면 시장 전체의 상황을 대략 알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은 여러 기업의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대표적인 몇몇 기업 주가를 종합해서 숫자로 만든다면, 이게 바로 주가지수가 됩니다.
2. 대표적인 주가지수들
지난 시간 유통시장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한국을 대표하는 유통시장, 미국을 대표하는 유통시장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유통시장 다시 알아보기 |
한국을 대표하는 유통시장에는 KOSPI (코스피), KOSDAQ (코스닥)이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한국의 대표적인 종합주가지수로 삼성전자 현차와 같은 대기업들이 포함돼 있습니다. 코스피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들의 주가를 종합해서 숫자로 만든 것을 코스피 지수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코스닥지수]도 감이 오실 것입니다. 벤처기업이나 중소형 성장주 중심의 기업들이 포진되어 있는 유통시장인 코스닥에 포함된 기업들의 주가를 종합해서 숫자로 만들 것입니다.
미국을 대표하는 유통시장은 NYSE(엔와이 에스이), NASDAQ (나스닥)이 있습니다.
미국은 각 증권 거래소(유통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을 기준으로 여러 종류의 주가지수를 만들어서 시장을 더 세밀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뉴욕증권거래소 NYSE(엔와이 에스이)에서는 NYSE 종합지수, 다우지수, S&P 500, 러셀 투 싸우전드 지수 등이 있습니다.
[NYSE 종합지수/ NYSE Composite Index ]는 NYSE에 상장된 모든 주식을 포함한 지수로 대형주, 중소형주, 외국기업주까지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가격 가중 방식으로 해당 지수가 계산됩니다. NYSE 종합지수는 NYSE 전체의 시장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지수이기도 합니다.
[다우존스산업지수]는 NYSE 및 나스닥(NASDAQ)에서 대표적인 30개 대형 우량주로 구성되어 있는 지수로 가격 가중 방식으로 지수가 결정되며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코카콜라, 맥도날드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S&P 500지수]은 미국의 대표 기업 500개의 평균을 낸 지수로 글로벌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참고하는 지수입니다. 미국 주식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지수이기도 합니다. NYSE(엔와이 에스이), NASDAQ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인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테슬라, 구글(알파벳), JPMorgan 등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P500지수는 시가총액 가중 주가지수로 미국 전체 시가총액의 약 80% 이상 반영하고 있습니다.
[Russell 2000]은 NYSE(엔와이 에스이), NASDAQ (나스닥)에 상장된 중소형주 2,000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의 중소기업들의 흐름을 볼 수 있는 지수로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지수를 결정합니다.
위에서 말한 지수들은 미국을 대표하는 주가지수이며 이외에도 각 산업과 섹터별 다양한 지수가 있습니다.
*시가총액 가중 방식→주가지수를 계산 할 때, 기업의 시가총액이 클수록 지수에 더 큰 영향을 주는 방식
*가격 가중 방식→주가지수를 계산할 때, 주가가 높은 종목이 더 큰 영향을 주는 방식, 시가총액은 따지지 않음
3. 그 외 주가 지수들
여기서 궁금한 점이 생길 수 있으실 텐데, 그럼 한국은 코스피, 코스닥지수 밖엔 없을까요? 미국처럼 한국도 여러 가지 주가지수들이 있습니다. 코스피, 코스닥 이외의 지수들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종합시장지수로 위에서 본 코스피지수, 코스닥 지수 이외 KRX 100, KRX 종합지수가 있습니다.
[KRX 100]은 코스피 + 코스닥 양쪽에서 우량 100종목 선별한 지수
[KRX 종합지수]는 한국 전체 상장 주식 포함 (코스피 + 코스닥 + 코넥스)한 지수
대표 종목 지수(시가 총액 상위 위주)로는 KOSPI 200, KOSDAQ 150, KOSPI 50 / 100, KOSPI Mid/Small 등이 있습니다.
KOSPI 200 / 코스피에서 시총 상위 200종목. 파생상품의 기초자산으로 많이 사용됨
KOSDAQ 150 / 코스닥에서 시총 상위 150종목
KOSPI 50 &100 / 시가총액 상위 50개 &100개 종목만 따로 모은 지수
KOSPI Mid/Small / 중형주(Mid)나 소형주(Small) 중심 지수
테마·산업별 지수 (KRX 테마지수)로 KRX 자동차 지수, KRX 반도체 지수, KRX 바이오 지수, KRX ESG 지수가 있습니다.
KRX 자동차 지수 / 현대차, 기아 등 자동차 관련주
KRX 반도체 지수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포함
KRX 바이오 지수 / 제약·바이오 업종 중심
KRX ESG 지수 / 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 우수 기업들로 구성
그 외 한국의 기타 지수로는 코넥스 지수, 우선주 지수, 배당주 지수, ETF 지수 등이 있습니다.
코넥스 지수 / 코넥스 시장 전용 지수 (초기/벤처기업 중심)
우선주 지수 / 우선주만 모은 지수
배당주 지수 / 고배당 기업으로 구성된 지수
ETF 지수 / 특정 ETF 종목들이 추종하는 지수 (예: KODEX 200, TIGER 미국S&P 500 등)
이러한 주가지수를 통해 우리는 전체 시장의 주가가 오르고 내리는 것을 쉽게 알수 있으며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통해 간접 투자할 수 있고, 산업별 지수를 보면 어떤 업종이 강한지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섹터분석)
* 섹터분석→ 비슷한 사업을 하는 기업들끼리 묶은 그룹, 주시 시장에서는 같은 성격의 산업군을 하나의 섹터로 구분함
'금융블루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의 방법 셋 '배당 투자' (2) | 2025.04.14 |
---|---|
주식투자의 방법 둘 '성장 투자' (1) | 2025.04.12 |
주식투자의 방법 하나 '가치 투자' (0) | 2025.04.12 |
주식은 알겠는데, 어디서 사고 팔까요? (1) | 2025.04.10 |
투자의 기본, 주식이란 무엇일까요? (0) | 2025.04.09 |